1. 정보 보안의 주요 목표

(1) 기밀성

허락 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비밀 보장이라고 할 수도 있다. 원치 않는 정보의 공개를 막는다는 의미에서 프라이버시 보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공격 방법: 스누핑, 트래픽 분석, 가로채기

 

(2) 무결성

허락 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를 함부로 수정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했을 때, 또는 보관돼 있던 정보를 꺼내 보았을 때 그 정보가 중간에 수정 또는 첨삭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격 방법: 변경(Modification), 위조(Fabrication), 시간성 변경(고의 지연, 순서 뒤바꿈), 가장(Masquerading), 재연(Replaying), 부인(Repudiation)

 

(3) 가용성

허락된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에 접근하려 하고자 할 때 이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공격 방법: DoS, DDoS, DRDoS, 차단(Interruption)

 

3개에 더하여 인증, 부인방지가 포함되기도 한다.

 

2. 수동적 공격과 적극적 공격

(1) 소극적 공격(Passive Attack)

스누핑과 같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데이터의 탈취, 분석 등

주로 기밀성을 위협하는 공격들

 

(2) 적극적 공격(Active Attack)

직접적으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공격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무결성 공격이나 서비스의 가용성을 위협하는 공격 등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B3%B4_%EB%B3%B4%EC%95%88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288

http://itwiki.kr/w/%EB%B3%B4%EC%95%88_%EA%B3%B5%EA%B2%A9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ffie-Hellman 키 교환  (0) 2020.09.23
블록 암호 알고리즘 정리  (0) 2020.09.23
블록 암호 모드 (블록 암호 운용 방식)  (0) 2020.09.21
블록 암호 방식 - DES  (0) 2020.09.21
스트림 암호 방식  (0) 2020.09.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