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블록 암호 알고리즘 정리
2. 블록 암호 알고리즘 별 특징
(1) DES, 3DES
블록 암호 방식 - DES 포스팅 참고
(2) AES (고급 암호화 표준,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2001년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제정된 대칭키 암호화 방식으로, DES 암호화 방식을 대체하였다.
AES는 두 명의 벨기에 암호학자인 존 대먼과 빈센트 라이먼에 의해 개발된 Rijndael(레인달) 에 기반하며 AES 공모전에서 선정되었다.
키의 크기에 따라 AES-128, AES-192, AES-256 등이 존재한다.
non-Feistel 구조이며, 각 라운드에서 대체와 치환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 전체를 병렬 처리한다.
(3) IDEA (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국제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
스위스에서 DES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블록 암호 알고리즘이다.
DES보다 2배 빠르고, 무차별 공격에 강하다.
PGP 암호화에 사용된다.
(4) SEED
1999년 한국정보보호진흥원(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전신)의 기술진이 개발한 128비트 및 256비트 대칭 키 블록 암호 알고리즘으로, 미국에서 수출되는 웹 브라우저 보안 수준이 40비트로 제한됨에 따라 128비트 보안을 위해 별도로 개발된 알고리즘이다.
대한민국의 인터넷 뱅킹 및 쇼핑 환경에서 자주 쓰이나, SEED 기반 보안 프로그램은 액티브엑스 플러그인으로 배포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인인증서와 함께 대한민국의 웹 호환성 문제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국내 보안업체들은 128 비트 보안을 위한 별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웹브라우저 플러그인으로 배포되어 국내 인터넷 뱅킹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DES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5) ARIA
아리아(ARIA)는 대한민국의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 체계이다. ARIA라는 이름은 학계(Academy), 연구소(Research Institute), 정부 기관(Agency)이 공동으로 개발한 특징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004년 산업자원부의 KS 인증(KS X 1213:2004)을 획득하여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국가 표준 암호 알고리즘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2010년 웹 표준 중 하나가 되었다.
AES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6) HIGHT (HIGh security and light weigHT)
2005년 KISA, ETRI 부설연구소 및 고려대가 공동 개발한 국산 64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이다. RFID, USN 등과 같이 저전력, 경량화를 요구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7) LEA (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
2015년 국내에서 개발된 128비트 블록 암호 알고리즘으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고속 환경 및 모바일 기기등 경량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A%B8%89_%EC%95%94%ED%98%B8%ED%99%94_%ED%91%9C%EC%A4%80
https://ko.wikipedia.org/wiki/SEED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A6%AC%EC%95%84_(%EC%95%94%ED%98%B8)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개키(비대칭키) 암호 방식 (0) | 2020.09.23 |
---|---|
Diffie-Hellman 키 교환 (0) | 2020.09.23 |
블록 암호 모드 (블록 암호 운용 방식) (0) | 2020.09.21 |
블록 암호 방식 - DES (0) | 2020.09.21 |
스트림 암호 방식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