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sap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각각의 라인을 살펴보겠습니다.
(1) <sid>adm 계정으로 Switch User
[root@testehp8 ~]# su - tepadm
Last login: Fri Dec 14 15:17:36 KST 2018 on pts/1
(2) startsap 명령어 실행
testehp8:tepadm 19> startsap
(2-1) 데이터베이스 상태 확인 및 실행
Checking syb Database
Database is not available via R3trans
-------------------------------------------
startdb completed successfully
현재 DB가 실행 중인지에 대해 R3tran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합니다.
R3trans 프로그램은 R/3 즉, Client <-> Application Server <-> DB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쓰이는 프로그램이며, Trouble Shooting 시에 DB 연결을 테스트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R3trans는 SAP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추후 포스팅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은 DB 연결을 R3trans 프로그램으로 확인했다는 것만 알아주세요.
(2-2) sapstartsrv 프로세스 실행
Starting Startup Agent sapstartsrv
OK
Instance Service on host testehp8 started
-------------------------------------------
sapstartsrv 프로세스는 SAP Workprocess들을 실행시키는 모체 역할을 합니다. 보통 부모 프로세스라고 하죠.
(2-3) ASCS Instance 실행
starting SAP Instance ASCS01
Startup-Log is written to /home/tepadm/startsap_ASCS01.log
-------------------------------------------
/usr/sap/TEP/ASCS01/exe/sapcontrol -prot NI_HTTP -nr 01 -function Start
Instance on host testehp8 started
Starting Startup Agent sapstartsrv
OK
Instance Service on host testehp8 started
-------------------------------------------
ASCS는 Enqueue server와 Message server로 구성된 SAP Instance입니다.
Sapcontrol 프로그램은 실제로 SAP Instance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2-4) PAS(Dialog) Instance 실행
starting SAP Instance D00
Startup-Log is written to /home/tepadm/startsap_D00.log
-------------------------------------------
/usr/sap/TEP/D00/exe/sapcontrol -prot NI_HTTP -nr 00 -function Start
Instance on host testehp8 started
실제 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PAS Instance를 실행합니다.
ASCS와 마찬가지로 실제 Instance 실행에는 sapcontrol 프로그램이 담당합니다.
'SAP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CK error - UUID is not active (0) | 2022.02.27 |
---|---|
SAP Start 과정 (좀 더 세부적으로) (0) | 2022.02.26 |
Help Portal 링크 모음 (0) | 2022.01.25 |
SAP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기본값 관련 파라미터 (0) | 2021.11.09 |
SAPCAR option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