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NFS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Step by Step)
리눅스 NFS 서버/클라이언트 설정 (Step by Step)
1. NFS 서버 설정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 (기존 디렉터리 사용해도 무관)
[root@localhost ~]# mkdir /sapcds
공유 설정
[root@localhost ~]# vi /etc/exports
/sapcds 192.168.45.0/24(rw)
관련 데몬 실행
[root@localhost ~]# systemctl start rpcbind
[root@localhost ~]# systemctl start nfs
재부팅 후에도 데몬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활성화
[root@localhost ~]# systemctl enable rpcbind
[root@localhost ~]# systemctl enable nfs
nfs 서비스에 대해 방화벽 오픈
[root@localhost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success
[root@localhost ~]# firewall-cmd --reload
success
[root@localhost ~]# firewall-cmd --list-all
public (default, active)
interfaces: eno16777736
sources:
services: dhcpv6-client nfs ssh
ports: 22/tcp
masquerade: no
forward-ports:
icmp-blocks:
rich rules:
(원할 경우) 모든 사용자가 공유 디렉터리를 읽기/쓰기/실행 가능하도록 설정
[root@localhost ~]# chmod 777 /sapcds
2. NFS 클라이언트 설정
공유 디렉터리가 마운트 될 디렉터리 생성 (기존 디렉터리 사용해도 무관)
[root@sapehp8db01 ~]# mkdir /sapcds
공유 디렉터리 마운트
※ nfssrv01은 NFS 서버의 호스트명 (호스트명 사용하려면 /etc/hosts 파일에 미리 등록해놔야 함)
[root@sapehp8db01 ~]# mount -t nfs nfssrv01:/sapcds /sapcds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마운트 하도록 /etc/fstab에 등록
[root@sapehp8db01 ~]# vi /etc/fstab
#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Mon Nov 11 22:37:58 2019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UUID=d103a209-c34e-4ade-bcff-e32263be0de2 / xfs defaults 0 0
UUID=1b715dc3-c5d0-4567-ac2b-7d44bc82d14b /boot xfs defaults 0 0
UUID=8ab1d464-33a2-4ac6-a410-736e88a048c7 swap swap defaults 0 0
nfssrv01:/sapcds /sapcds nfs defaults defaults 0 0
참고자료:
정성재,배유미 공저(2018),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1차,2차 시험대비) 8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