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E 네트워크 설정 (NetworkManager vs Wicked)
SuSE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음
- NetworkManager Service
- Wicked Service
1. NetworkManager Service
1.1 NetworkManager Service의 특징
일반적으로 노트북이나 태블릿 같은 모빌리티 장비에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한 방법
네트워크 설정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관리하는 데에 초점을 둔 설정 방법
여러 개의 네트워크 연결점이 있을 경우, 최적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관리해 줌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가 모두 가능하면 둘 중 빠른 것으로 연결해 줌)
1.2 NetworkManager Service의 네트워크 관리
아래와 같이 수동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체에 IP 설정은 불가
대신 아래와 같이 IP 주소를 Profile 단위로 관리해서 IP 주소를 쉽게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음
수동 IP 설정도 가능
설정한 Profile 정보는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디렉터리에 저장됨
2. Wicked Service
2.1 Wicked Service의 특징
Wicked Service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에 적합
기존에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주로 사용하던 /etc/sysconfig/ network/ifcfg-* 설정 파일과 더불어
/etc/wicked/ 디렉터리의 XML 설정 파일 등을 사용
기존에 사용하던 전통적인 네트워크 설정인 ifup 스크립트보다 더 명확하게 구분된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 오설정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자 만들어짐
2.2 Wicked Service의 네트워크 관리
아래와 같이 Network Setup Method를 Wicked Service로 설정하면,
예전부터 우리가 네트워크를 설정하던 것처럼 네트워크 디바이스 자체에 IP주소를 부여할 수 있음
3. NetworkManager Service vs Wicked Service
NetworkManager와 Wicked 둘 다 DHCP, Static, Auto Connect 등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
다만 용도의 차이가 있을 뿐
서버 용도로는 Wicked Service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NetworkManager는 네트워크 연결을 서버가 마음대로 바꿀 수도 있기 때문
그냥 개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NetworkManager를 사용해서 관리 포인트를 줄이는 것이 좋음
참고자료:
https://documentation.suse.com/sled/15-SP1/html/SLED-all/cha-network.html#wicked-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