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수세리눅스에서 NFS 서버 설정 (with GUI)
덩덩
2022. 7. 11. 20:18
NFS Server/Client 설정의 경우, 대부분 커맨드를 사용해서 설정하실 겁니다.
하지만 GU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기 때문에 소개해 보려 합니다.
GUI를 사용할 경우, 연관된 설정파일들(exports, fstab 등)을 자동으로 설정해주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1. NFS Server 세팅
우선 NFS Server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zypper install nfs-kernel-server yast2-nfs-server
![](https://blog.kakaocdn.net/dn/lAg3G/btrG2s2hvVE/0UoQJJaRu1HnJupkXzLyV1/img.png)
그런 다음 YaST (yast2)를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NFS Server가 생겨져 있습니다.
(이건 위에서 설치한 패키지 중 yast2-nfs-server를 설치해야 함)
![](https://blog.kakaocdn.net/dn/ZNVzR/btrGT0r0Qep/qpADtqFG6UkjfWcVylBhU0/img.png)
NFS Server를 Start로 변경해주고, Next를 눌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Taua/btrGZLBv4Oq/lqTkMG2HXruka6HbuTViX0/img.png)
원하는 디렉터리를 추가하고, 공유 옵션을 입력하면 끝입니다.
Finish를 눌러 나가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w4lp/btrG20Lfz37/G3lIbNlUA5vJ1hhoHXX071/img.png)
설정 값을 확인하기 위해 /etc/exports, exportfs를 확인해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lJf4/btrG3KOEorS/xmJHG4d4cyKqfnlsXQl91K/img.png)
이렇게 GUI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exports 파일과 exportfs 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NFS 서버 설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2. NFS Client 세팅
NFS 서버의 디렉터리를 공유받을 NFS Client에서는 YaST의 NFS Client를 실행합니다. (일반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ldQAZ/btrGWbUsixx/JC1jSkLVNIUU4DUmQXUqsK/img.png)
원하는 디렉터리를 추가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Ty30/btrGYzOOmLW/2RNCXo9Tjfxp60lrbHK5kK/img.png)
이렇게 Client에서도 GUI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마운트를 해줄 뿐더러 /etc/fstab에도 추가를 해주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정을 끝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wCx8/btrGXfJVuuw/ASnL0KKlDDNn1lNcFmmaSk/img.png)